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콩나물 비빔밥 요리 저는 콩나물 국을 끓이거나, 콩나물 무침을 할때 넉넉하게 데쳐서 한끼는 꼭 콩나물 비빔밥을 해먹어요~고기 하나만 살짝 추가해서 볶아주면, 간단하지만 너무 풍족한 한끼 식사를 만들수 있어요~콩나물콩나물( 문화어: 숙주줄금)은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재료 중 하나로, 그늘에서 발아시킨 콩의 뿌리를 자라게 한 식료품을 말한다. 데친 후 양념에 무쳐 먹거나 국을 끓여 먹기도 하며, 밥을 지을 때 넣기도 한다. 숙취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어 해장국 재료로 많이 쓰인다.특히, 콩나물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음식 가운데 하나인 전주비빔밥의 주재료이다. 이 밖에도 전주는 남문시장을 중심으로 상인들이 즐겨먹던 콩나물 국밥이 유명하며, 전주와 그 부근의 익산, 군산, 김제를 비롯한 전라북도의 대부분 지역의 밥상에서 콩나물요리만큼.. 2024. 8. 3.
쌀국수 요리 어제 저녁에 밀푀유나베를 밀키트로 정육점에서 사와서 먹었는데, 국물이 너무 맛있더라구요~그래서 남은 국물에 쌀국수랑 고기, 숙주나물만 추가해서 끓여 먹어봤는데..아들이 너무너무 잘먹더라구요~~ 또 이렇게 간단하게 한끼 해결했어요~ ㅎㅎ 쌀국수베트남은 전 국민의 7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대표적인 농업 국가이다. 그중에서도 쌀을 경작하기 위한 최적의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어 연간 최대 3모작도 가능하다. 이러한 자연환경 때문에 베트남의 한해 쌀 생산량은 베트남 전체 농업 생산량의 절반에 육박한다. 이처럼 풍부한 쌀을 가공하여 만든 음식이 바로 쌀국수이다. ‘퍼(Pho)'라고 불리는 쌀국수는 베트남 사람들이 분주한 아침의 간편한 식사 혹은 출출할 때 가볍게 먹을 수 있는 대중적인 음식이다. 쌀국수는 .. 2024. 8. 1.
돼지고기 안심장조림 요리 여름에는 단짠한 요리들을 자주 하게 되는것 같아요.냉장고에 들어갔다 나와도 맛의 변화가 적고, 잘 먹을수 있는 돼지고기 안심 장조림을 한번 해봤어요~개인적으로는 이 요리는 막 한것보다, 냉장고에 한번 들어갔다 오는게 더 맛있는것 같아요~ 돼지고기마릿수 기준으로는 닭고기가 가장 많이 도축되지만, 마리당 중량차로 인해 중량 기준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육류이다.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고기이다. 이는 돼지가 사육 효율이 높은 동물이였던 점도 있다.  돼지는 성장이 빨라 생후 6개월 만에 100~120kg까지 몸무게가 늘어나고 한번에 10여 마리의 새끼를 임신하기에 고기를 얻기 위한 목적이라면 돼지보다 효율적인 포유류 가축은 없다. 1990년 미국 농무부의 연구 기준으.. 2024. 7. 31.
고추 된장무침 요리 신랑 지인이 텃밭을 하는데, 오이고추를 주더라구요~아삭하니 맛은 있는데, 생각보다 좀 매워서 된장 넣고 무쳤어요~그러니까, 훨씬~~ 맛있더라구요~~ 간단한 고추 된장무침 요리 한번 도전해 보세요^^ 고추고추(←고초, chili pepper)는 가지과의 식물로 온대지방에서는 한해살이풀이고 원산지와 같은 열대 지방에서는 관목으로 자란다. 길이는 6~9cm. 가지가 많이 생기며 잎은 길고 둥글며 끝이 뾰족하며 여름에 하얀색 꽃이 핀다.열매는 장과로서 긴 형태이며 짙은 녹색이나 익어 가면서 점점 빨간색이 되며 껍질과 씨는 캡사이신을 함유하고 있어 매운 맛이 난다. 잎은 주로 무쳐서 나물을 만들고 열매는 식용한다. 특히 익은 열매는 빻아서 향신료로 쓰이며 이렇게 빻은 것은 일명 고춧가루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마.. 2024. 7. 30.
고구마 줄기볶음 요리 여름에는 고구마줄기가 제철이죠~ 저희는 어른, 아이 할것 없이 고구마 줄기를 다 좋아해서, 한단씩 사와서 꼭 볶아 먹어요~ 고구마감서·단고구마라고도 한다. 한국 전역에서 널리 재배한다. 길이는 약 3m이며 줄기는 길게 땅바닥을 따라 뻗으면서 뿌리를 내린다. 잎은 어긋나고 잇몸은 심장 모양으로 얕게 갈라지며 잎과 줄기를 자르면 즙이 나온다. 줄기 밑쪽의 잎자루 기부에서 뿌리를 내는데, 그 일부는 땅속에서 커져 덩이뿌리인 고구마가 된다. 모양은 양쪽이 뾰족한 원기둥꼴에서 공 모양까지 여러 가지이고 빛깔도 흰색·노란색·연한 붉은색·붉은색·연한 자주색으로 다양하다.꽃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연한 홍색의 나팔꽃 모양으로 몇 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진다. 화관 은 깔때기 모양이고 수술 .. 2024. 7. 29.
두부조림 요리 저희집 아이는 생두부도 좋아하고, 그냥 계란에 구워놓은 두부도 좋아하는데,여름이라 달달짭조름하게 조림으로 만들어 봤어요~두부콩제품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가공품으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이다.두부의 기원은 중국 한(漢)나라의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발명한 것이 시초라고 보는 것이 통설이다. 하지만 해당 시기의 다른 문헌과 이후의 기록에서 두부와 관련한 기록을 찾을 수 없으며, 11세기 문헌에서 비로소 두부에 관한 기록이 등장하므로 정설로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의견도 있다. 유안 발명설 외에 콩을 많이 먹었던 중국 북부에서 기원했다는 설, 몽골 지방의 유목민들의 음식 문화에서 기원한다는 설, 인도 유입설, 남만주 및 한반도 기원설 등이 있으나 현재 공인된 정설은 없다.우리나라의 문헌에서는 .. 2024. 7. 28.